식물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난 학명 읽는법. 약호 및 교배친. Aerangis = air-ANG-giss 에란지스 ( 국내 잘못된 표기 : 에란기스 ) Aerides = AIR-eh-deez 에리디스 ( 국내 잘못된 표기 : 에리데스, 아이리데스 ) Arundina = a-run-DEE-na 에룬디나 ( 국내 잘못된 표기 : 아룬디나 ) Ascocentrum = as-koe-SEN-trum 아스코센트룸 ( 국내 잘못된 표기 : 아스코센트럼 ) Angraecum = an-GRAY-cum 앙그레이컴 ( 국내 잘못된 표기 : 앙그레컴, 앙그레쿰 ) Bulbophyllum = bulb-oh-FILL-um 벌보휠룸 ( 국내 잘못된 표기 : 벌보필룸, 벌버필룸 ) Clowesia = kloh-WES-e-ah 클로웨시아 ( 국내 잘못된 표기 : 클로와시아, 크로와시아 ) Cal.. 더보기 정전기장 실험 정전기장 실험은 구이도 에프너, 하인츠 쉬르히에 의해 연구된 실험이며, 이 실험으로 식물의 종자를 발아시키거나 동물의 알을 부화시키게 되면 매우 신기한 변화가 일어난다. '관중' 이라는 고사리의 종자가 정전기장을 거쳐 발아하면 '골고사리' 모습으로 바뀐다. 관중 골고사리 이를 거친 고사리를 F1 때는 점점 '관중'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형질이 나타나고, F2때는 점점 심해지다가 F3때는 완전히 '관중' 모습으로 돌아온다. 이는 선조의 유전자를 깨웠다는 분석도 있고 사용하지 않는 유전자를 발현시켰다고도 한다. 또한 이를 이용해 밀이나 옥수수 등을 재배하게 되면 2~3년생일 밀이 다년생이 되어 덤불이 되고 옥수수는 한 줄기당 1~2개가 최대인데 이 옥수수는 기본 6개에서 최대 12개까지 열리게 된다. 정말 믿.. 더보기 네펜데스 속 계통 발생론 진화론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네펜데스 속과 멋진 포충낭은 오늘날 100종 이상이 발견되었는 데도 이들 사이에 크게 관계성이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속에는 명백한 조상이나 과도기적인 종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는 본질적으로 완성된 제품을 가지고 있다. 네펜데스 속은 우리에게 속의 유래를 알 수 있는 힌트를 주는 먼 조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친척들은 그들만의 특별한 적응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6천만년 전에 방향을 틀었다. 육식 능력이 있는 Triphyophyllum 과 육식 능력이 없는Ancistrocladus, Habropetalum 과 Dioncophyllum, are jungle lianas 는 네펜데스가 포충낭이 없는 작은 모습일 때와 매우 비슷하다. 네펜데스 속과는 다르게 .. 더보기 Stanhopea Morphology (스탄호페아 속 형태학), 식물학 용어 식물을 재배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난초의 모습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식물 용어는 흥미롭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스탄호페아 속의 종들은 신체적 특성이 매우 다르다. 식물들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은 것을 배우는 것은 종의 식별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좋은 생각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을 공부하는 것은 식물이 어느 환경에서 잘 성장할 수 있고 얼마나 많은 꽃을 피워낼 것인지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식물을 잘못된 환경에서 키우게 될 확률을 줄이게 해 줄 것이다. 나는 이 난초들의 물리적 특성에 대해 논하기 위해 약간의 식물학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 용어들의 일부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Stanhopea anfracta flower 꽃에는 4개의 주요 .. 더보기 이전 1 다음